git의 기본 명령어로는 git init, gitt add, git commit, git log 등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위의 4가지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위의 명령어들은 사진찍기 과정에 대한 비유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1. 사진찍기 과정
1) 사진사 고용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사진사를 고용해야한다.
이 과정이 git init에 해당한다.
2) 사람 모으기
그 다음으로는 사진사가 찍을 사람들이 모여야한다.
이 과정이 git add에 해당한다.
여기서 사람들은 실제로 코드파일에 해당한다.
3) 사진 찍기
이제 사진을 찍으면 된다.
이 과정이 git commit에 해당한다.
코드파일들의 현재 상태를 사진찍기 처럼 저장하는 것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코드파일들의 현재 상태를 특정 버전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4) 앨범 보기
그리고 우리가 찍은 사진들은 앨범에서 볼 수 있다.
이 앨범에 해당하는 명령어가 git log다.
사진을 여러번 찍더라도, 사진사는 1명만 고용하면 된다.
그래서 git init은 어떤 특정 프로젝트에 대해서 1회만 실시해주면 된다.
사진을 찍기 위해 모이는 사람들은 찍을 때마다 그 구성원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git add는 사진을 찍을 때마다, 즉 git commit을 할 때마다 실시해줘야한다.
이제 git 기본 명령어들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아보자.
2. git 기본 명령어
1) git init
git init을 실행할 경우,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내에 .git이라는 폴더가 생성된다.
이것의 의미는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그리고 하위 디렉토리를 git이 관리하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2) git add
git add는 commit 즉, 현재 상태를 특정 버전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파일들을 스테이징(추적)하는 명령어이다.
git add .은 .git 폴더가 존재하는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 한다.
3) git commit
git commit은 스테이징한 파일들의 현재 상태를 특정 버전으로 지정해주는 명령어이다.
아래와 같이 실행할 수 있다.
- git commit -m "커밋 명"
4)git status
git status는 현재 git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5) git log
git log는 commit 히스토리, 즉 버전의 목록을 보여준다.
6) git reset --hard
git reset --hard는 특정 commit 즉, 특정 버전으로 코드파일을 되돌리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아래와 같이 실행할 수 있다.
- git reset --hard 커밋해쉬코드(번호) //특정 commit으로 복구
- git reset --hard //마지막 commit으로 복구
출처: 코딩은 실전이다!-Git알못을 위한 깃린이코스(Git, GitHub 실습 위주)_인프런(신재형)
'etc. > Git & Gith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ignore (0) | 2022.04.30 |
---|---|
Github을 통한 로컬과 리모트 연동 (0) | 2022.04.28 |
Git user 설정 & CMD 기본 명령어 (0) | 2022.04.22 |
Git & GitHub (0) | 2022.04.22 |